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전국 초중고 폐교 현황 – 저출생의 영향과 지역별 분석

by 콜드피쉬 2025. 2. 24.

 

최근 저출생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가 가속화되면서 전국적으로 초·중·고등학교 폐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방에서는 신입생이 전혀 없는 초등학교가 크게 늘어나며, 향후 추가적인 폐교가 예상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4년 폐교 예정 학교 현황과 지역별 분석, 그리고 교육계가 직면한 문제점을 살펴보겠습니다.

1. 2024년 폐교 예정 초·중·고 현황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폐교 예정인 초·중·고등학교는 총 49곳으로, 지난해(33곳) 대비 48.5% 증가했습니다. 이는 202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며, 학령인구 감소가 본격적으로 교육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폐교 숫자는 2020년부터 지속적으로 변동을 거듭해 왔습니다. 2020년에는 33곳이 폐교되었으며, 이후 2021년 24곳, 2022년 25곳, 2023년 22곳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올해 급격히 증가한 것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저출생 문제와 지역 인구 감소가 본격적으로 교육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증거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폐교가 급증하는 이유 중 하나는 신입생 수 감소입니다. 신입생이 없는 학교는 운영이 어렵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폐교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학령인구 감소는 향후 몇 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이 같은 폐교 현상은 앞으로도 계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2. 지역별 폐교 현황

올해 폐교 예정인 학교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전남이 10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이어 △충남(9곳) △전북(8곳) △강원(7곳) 등의 순서로 나타났습니다. 경기에서는 6곳이 폐교될 예정이며, 서울은 한 곳도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수도권과 지방 간의 학령인구 격차가 더욱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지방에서는 학생 수 감소로 인해 학교 운영이 어려워지면서 폐교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한 명의 학생도 입학하지 않은 학교가 많아지면서 폐교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이 같은 현상은 지방 소멸 문제와도 연관이 깊으며, 교육 인프라의 축소가 지역 공동체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처럼 지역별 폐교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과 지방 간의 교육 환경 격차가 점점 심화되고 있으며, 앞으로 지방 학교의 지속적인 폐교가 예상됩니다. 이는 지방에서의 교육 기회 부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므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3. 학교급별 폐교 현황 

  • 초등학교: 38곳 (전체 폐교의 약 77.5%)
  • 중학교: 8곳
  • 고등학교: 3곳

초등학교 폐교가 압도적으로 많은 이유는 신입생이 급감하면서 운영이 어려워졌기 때문입니다. 신입생이 없는 학교는 재정적 문제뿐만 아니라 교육의 질 저하, 교사 감축 등의 문제를 동반합니다. 특히 초등학교 폐교는 지역사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아이를 둔 가정이 해당 지역을 떠나는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한편,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초등학교보다는 상대적으로 폐교 비율이 낮지만, 초등학교 폐교가 증가함에 따라 중학교와 고등학교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초등학교가 사라지면 자연스럽게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생 수도 줄어들게 되고, 결국에는 이들 학교 역시 폐교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폐교 현상은 단순히 초등학교 수준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교육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인 문제로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4. 입학생 없는 초등학교 증가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입학생이 단 한 명도 없었던 초등학교는 112곳에 달했습니다. 지역별로는 **전북(34곳)**이 가장 많았으며, △경북(17곳) △경남(16곳) △전남·충남(각 12곳) △강원(11곳)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2025년에도 지속될 전망입니다. 전국 시도교육청이 집계한 '2025년 초등학교 입학생 현황'에 따르면, 경북은 42곳, △전남(32곳) △전북(25곳) △경남(26곳) △강원(21곳) 등에서 입학생이 없는 초등학교가 속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입학생 없는 초등학교가 증가하는 가장 큰 원인은 저출생 문제와 지방 인구 감소입니다. 특히 수도권과 달리 지방에서는 젊은층이 도시로 이동하면서 지역 내 신생아 수가 급감하고, 이로 인해 초등학교 입학생이 급감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지역 교육당국은 통폐합을 통해 학교 운영을 이어가려 하고 있지만, 이는 학생들의 통학 거리 증가, 교육 기회의 불평등 문제를 초래할 수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입학생 없는 초등학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교육 인프라를 강화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통해 인구 유입을 유도하는 등의 정책이 필요합니다.